공장 내 전기설비 점검 시 유의사항 누전·감전 사고 예방 실무 가이드
공장 내 전기설비는 기계, 조명, 설비제어 등 거의 모든 공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핵심 기반입니다. 하지만 이런 전기설비는 잘못된 점검이나 유지관리 부주의로 인해 감전사고, 누전, 화재 등의 중대 재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실제로 많은 전기 사고는 ‘설비 노후’나 ‘전기 자체의 결함’ 때문이 아니라, 사소한 점검 실수에서 비롯됩니다. 예를 들어, 누전차단기 시험을 생략하거나, 배전반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방치된 경우, 그 사소한 방치가 수천만 원의 피해를 부르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문제는 이러한 점검 실수가 반복되면서 ‘대충 넘어가는 분위기’가 조직에 고착화된다는 점입니다. 그 결과, 일상적인 점검이 점점 형식화되고, 아무도 사고가 날 거라고 생각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전기설비 점검은 ..
환경안전보건
2025. 5. 8.
회전축 사고 예방하려면? 안전커버 설치기준과 실무 적용 팁 총정리
회전기계는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설비지만, 동시에 가장 많은 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고위험 장비입니다. 선반, 밀링, 드릴, 연삭기 등 다양한 기계에서 발생하는 회전체의 빠른 회전은 순식간에 의복, 장갑, 머리카락을 감아들일 수 있고, 심각한 신체 손상을 유발합니다.특히 회전축, 커플링, 풀리, 벨트 등 외부로 노출된 회전체는 반드시 방호조치가 필요하며, 산업안전보건법에서도 그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여전히 "기계 성능엔 문제없으니 괜찮다"는 안일한 판단으로 방호커버를 생략하거나 임의 해체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문제는 이러한 판단이 단순 실수에서 끝나지 않고, 현장 전체의 안전문화를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점입니다. 방호장치가 없는 회전기계는 작업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
환경안전보건
2025. 5. 8.